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연구소

전세대출 vs 월세, 어떤 게 유리할까?

by ohnthe(온더) 2025. 3. 23.
반응형

부동산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전월세 전환율입니다. 전세와 월세, 어느 쪽이 더 유리한지 판단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되지요. 그런데 처음 듣는 분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고, 알고 있더라도 어떻게 계산하고 해석해야 할지 어려운 개념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월세 전환율이 무엇인지, 간단한 계산법과 함께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고덕 아르테온
고덕 아르테온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할 때 적용되는 비율입니다. 쉽게 말하면, "이 전세 보증금으로 월세를 낸다면 몇 % 수익이 나는가?"를 계산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전세 1억 원짜리 집이 월세 50만 원이라면, 이 집의 전월세 전환율은 이렇게 계산합니다

 

(월세 × 12개월) ÷ 전세보증금 × 100
→ (50만 원 × 12) ÷ 1억 원 × 100 = 6%

 

즉, 집주인은 전세 1억 원을 월세로 돌리면 연 6%의 수익을 얻는 셈입니다.

 

참고로 정부에서는 기준 전환율을 정해두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는 연 3.5% + 한국은행 기준금리인데, 2024년 들어 기준금리가 낮아지면서 실제 시장 전환율은 이보다 높거나 낮게 형성되기도 합니다.

 

실무에서는 보통 '전세보증금 1억 = 월세 40만원'으로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전세로 5억짜리 집 = 월세보증금 1억/월세 160만원' 이렇게 동일하게 본다는 거죠. (계산하기 쉽죠?) 

 

 

전세와 월세, 어떻게 계산해서 비교할 수 있을까?

전세가 나을지, 월세가 나을지 결정할 땐 단순히 금액만 비교해선 안 됩니다. 내가 부담해야 할 이자 비용과 실제 주거비를 종합적으로 따져봐야 해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정해 볼게요.

- 전세보증금: 1억 원

- 월세: 50만 원

- 전세대출 이자율: 4%

 

전세로 거주할 경우, 대출을 1억 원 받아 이자를 낸다면 연간 이자 비용은

1억 원 × 4% = 400만 원 (월 약 33.3만 원)

 

반면, 월세로 거주하면 월 50만 원이니까 연간 600만 원을 지출하게 되죠.


이 경우 전세대출 이자를 내는 것이 월세보다 연 200만 원 저렴합니다.

즉, 전세대출 이자율이 전월세 전환율보다 낮다면 전세가 더 유리한 구조입니다.

 

 

언제 월세가 더 나을까요?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월세가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1. 대출이 어려운 상황

- 신용도나 소득 문제로 전세대출이 어렵거나 한도가 낮다면 전세가 부담될 수 있습니다.

2. 이자율이 높은 경우

- 전세대출 금리가 높아지면 월세보다 더 많은 비용을 내게 될 수 있습니다.

3. 단기 거주 계획일 경우

- 전세 계약은 보통 2년 단위이기 때문에 6개월~1년 정도의 단기 거주라면 월세가 더 유연합니다.

4. 목돈을 투자하고 싶은 경우

- 전세보증금으로 묶일 자금을 다른 곳에 투자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면, 월세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전월세 전환율, 내 상황에 맞게 계산해보세요

전월세 전환율은 부동산 계약에서 내게 유리한 조건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단순히 월세가 아깝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전세대출 이자와 비교해 보며 냉정하게 계산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즘처럼 금리가 변화하는 시기에는 매물마다 전환율이 달라질 수 있으니, 꼭 직접 계산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한두 번 계산해 보면 금방 익숙해지실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