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연구소

LTV 총정리: 생애최초·무주택·다주택자까지 한눈에! (2024년 기준)

by ohnthe(온더) 2025. 3. 21.
반응형

주택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입니다. 내 집 마련이나 부동산 투자를 계획하신다면, 본인의 상황에 맞는 LTV 기준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애최초, 서민 실수요자, 무주택자, 1주택자, 다주택자, 매매임대사업자까지, 각각의 조건별로 규제지역과 비규제지역에서의 LTV 기준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대출 은행 LTV DTI DSR
Image by  David Yonatan González  from  Pixabay

 


LTV란 무엇인가요?

LTV(Loan To Value ratio)는 ‘주택담보대출비율’을 의미하며, 주택 가격 대비 대출 가능한 금액의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LTV가 70%라면, 10억 원짜리 아파트를 살 때 최대 7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LTV는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고, 차주의 상환 능력을 고려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때문에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처럼 규제지역에서는 더 낮은 LTV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4년 기준 LTV 요약표

아래는 생애최초 주택구매자부터 다주택자, 매매임대사업자까지 구분별 LTV 기준을 표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분 규제지역 LTV 비규제지역 LTV
생애최초 주택구매자 80% (한도 6억 원) 80% (한도 6억 원)
서민 실수요자 70% (요건 충족 시, 한도 6억 원) 70%
무주택자 50% 70%
1주택자(처분 조건) 50% 70%
다주택자 30%/40% 60%
매매임대사업자 30% 60%

※ 단,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따라 대출 가능 금액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금융권은 DSR 40%, 2금융권은 DSR 50%가 적용되며, 연 소득에 따라 실제 대출 가능 금액은 LTV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 주택가격의 기준은 '매매가'가 아니라, 보통 'KB시세'를 기준으로 합니다. 

 

내가 해당하는 조건은 어디일까?

- 생애최초 주택구매자: 본인 및 배우자 모두 과거에 주택을 소유한 적이 없는 경우 해당됩니다. 정부가 지원하는 생애최초 특별공급 등과 함께 활용하면 유리합니다.

- 서민 실수요자: 무주택자이면서 일정한 소득과 자산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주택 가격 9억 원 이하,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등의 기준이 적용됩니다.

- 1주택자/다주택자: 기존 주택을 보유하고 있지만 추가로 주택을 구매하려는 경우 해당되며, 규제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LTV가 낮게 책정됩니다.

- 매매임대사업자: 주택을 임대 목적으로 구매하는 경우로, 대출 규제가 가장 까다로운 편입니다.

 


 

LTV는 단순히 대출 한도만을 알려주는 수치가 아니라, 내 집 마련 전략의 중요한 기준점이 됩니다.
생애최초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지, 혹은 규제지역 내 투자 계획이 있다면 LTV 제한을 반드시 고려하셔야 합니다.

최근에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빠르게 변하고 있으니, 최신 정보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반응형